







자살 고위험시기 집중관리
자살예방 How To
스프링 피크(Spring Peak)
갑작스러운 일조량의 변화, 환경의 변화 등의 이유로 봄철(3~5월)에 자살율🥀이 급증하는 현상
계절별 자살 사망자 수
2022년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봄철(3~5월)의 자살 사망자 수는 3,488명으로 사계절 중 가장 많은 자살 사망자가 발생한 시기입니다.
자살위험 신호란?
✅ 언어💬의 변화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한다.
자살에 대한 암시, 계획을 언급한다.
자기 비하의 말을 한다.
✅ 행동🚶의 변화
약을 모으는 등 자살 수단을 마련한다.
중요한 것을 남에게 주는 등 주변을 정리한다.
식사와 수면에 큰 변화가 있다.
혼자 있으려 하고 대화를 피한다.
✅ 정서💔의 변화
우울감과 죄책감을 표현한다.
기존 관심이 있던 것에 흥미를 느끼지 않는다.
내밀어 주세요, 도움의 손길 <물어보기, 들어주기, 연결하기>
우리가 알아채지 못할 뿐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도움을 바라고 있습니다.
위험신호를 알아차려서 먼저 손을 내밀어 주세요.
1. 물어보기
✅ 직접적 표현 사용하기
"자살 생각을 하는 건 아니죠?" 등의 표현은 이야기를 듣고 싶지 않은 것처럼 생각될 수 있으니 "자살을 생각하고 있나요?"와 같이 직접적으로 물어봐 주세요.
✅ '자살생각' 자체에 대해 묻기
'자살생각'이라는 단어를 부정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그 자체에 대하여 물어봐 주세요.
2. 들어주기
✅ 경청하기
"그 나이엔 누구나 겪는 일이야" 같은 충고보단 도움이 필요한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해 주세요.
✅ 하지 말아야 할 말
"쓸데없는 생각하지 말고 네 할 일이나 잘해" 등 비아냥거리는 말은 더 큰 상처를 줄 수 있으니 삼가 주세요.
✅ 알려주기
"진짜 힘들었겠다, 어떻게 견뎠어?" 등의 지지하는 말로 공감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세요.
3. 연결하기
✅ 전문가와 연결하기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찾아가도록 해주세요.
첫 예약을 같이 하거나 첫 방문을 함께하는 것도 좋습니다.
✅ 환경을 바꾸기
위험한 물건은 폐기하거나 위험한 환경으로부터 분리시켜 주세요.
혼자 있게 하기 보단 함께 있어 주고, 술은 절대로 권하지 말아주세요.
기다려, 봄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계절, 봄🌱이 찾아왔습니다.
이번 봄도, 그 다음 봄도 잘 지내면 분명 봄이 기다려지는 순간이 찾아옵니다.
도움이 필요하다면, 강남구정신건강복지센터😇를 찾아주세요!
🔎 이용방법 : 전화 또는 방문
⏰ 이용시간 : 평일(09:00~18:00 방문 / 02-2226-0344) 주말이나 야간(자살예방 상담 전화 109)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로 100 자곡문화센터 2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