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 제29회 양성평등주간을 기념하여 남녀의 모습을 부문별 통계로 조망

- ’23년 15~64세 여성 고용률은 61.4%로 ’15년 대비 5.7%p 상승,

30대 초반 여성 고용률은 71.3%로 ’15년 대비 11.7%p 상승

- ’23년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12만 6천 명 중 남성 비율은 28.0%로 ‘15년 대비 5배 증가

- ’23년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남녀(43.9%, 51.9%) 모두 ’17년 대비 증가,

남성의 증가폭(4.9%p)이 여성(3.5%p)보다 높게 나타나

여성가족부는 제29회 양성평등주간(9.1~9.7)을 기념하여 남녀의 모습을 부문별로 분석한 「2024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을 5일(목) 발표했습니다.

「2024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은 인구와 가구, 노동시장, 일생활 균형, 사회인식 등과 관련한 시계열 통계를 통해 변화된 남녀의 모습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각 부처 등에서 공표한 자료를 활용해 작성했습니다.

「2024년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3년 1인 가구는 782만 9천 가구로 일반 가구의 35.5%를 차지하며 ’15년 520만 3천 가구 대비 50.5% 증가했고, 남성 1인 가구는 30대(21.8%), 여성은 60대(18.6%)가 가장 많았습니다. 

2023년 초혼 건수는 14만 9천 건으로 ’15년 23만 8천 건 대비 37.2% 감소했고, 평균 초혼 연령은 여성 31.5세, 남성 34.0세로 ’15년 대비 각 1.5세, 1.4세씩 상승했습니다.

* 평균 초혼 연령:(’15) 여성 30세, 남성 32.6세 → (’23)여성 31.5세, 남성 34.0세
 

2023년 다문화 가구 가구원은 약 119만 2천 명으로 ’15년 약 88만 8천 명 대비 34.2% 증가했고, 이중 여성 가구원이 52.5%를 차지했습니다.

2023년 15~64세 여성 고용률은 61.4%로 ’15년 55.7% 대비 5.7% 포인트(p) 상승했고, 특히 30대 초반 여성 고용률은 71.3%로 ’15년 59.6% 대비 11.7%포인트(p) 상승해 M커브 곡선*이 완화되었습니다.

* M커브 곡선 : 연령별 여성 고용률을 그렸을 때 30대 고용률이 하락해 M자 모양이 되는 그래프

2023년 6월 기준 총 실근로시간은 여성 148.2시간, 남성 164.4시간으로, ’15년 동월 대비 각 16.8시간, 14.8시간 감소했습니다.

* 6월 총 실근로시간:(’15) 여성 165시간, 남성 179.2시간 → (’23)여성 148.2시간, 남성 164.4시간

2023년 기혼 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은 134만 9천 명으로 ’15년 207만 3천 명 대비 34.9% 감소했습니다.

* 15∼54세 기혼 미취업여성 중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돌봄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여성

2023년 저임금(중위임금의 2/3 미만) 근로자 비율이 여성 19.0%, 남성 9.8%로 ’15년 대비 여성은 12.7%포인트(p), 남성은 3.5%포인트(p) 감소했습니다.

* 저임금 근로자 비율:(’15) 여성 31.7%, 남성 13.3% → (’23)여성 19.0%, 남성 9.8%

2023년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12만 6천 명으로 ’15년 8만 7천 명 대비 44.3% 증가했고, 이중 남성 비율은 28.0%로 ’15년 대비 5배 증가했습니다.

*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 : (’15) 87,339명 → (’23) 126,008명(+44.3%)

**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비중:(’15) 여성 94.4%, 남성 5.6% → (’23)여성 72.0%, 남성 28.0%

2023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수급자는 2만 3천 명으로 ’15년 2천 명 대비 11.3배 증가했습니다.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수급자 수:(’15) 2,061명 → (’23)23,188명

2023년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근로자 비율은 여성이 13.9%, 남성이 17.1%로 ’15년 대비 여성은 3.0배, 남성은 3.6배 증가했습니다.

*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15) 여성 4.6%, 남성 4.7% → (’23)여성 13.9%, 남성 17.1%

2023년 ‘직장 내 일가정 양립 문화에 만족한다’는 비율이 여성 35.1%, 남성 34.9%로 ’17년 대비 각 11.5%포인트(p), 13.6%포인트(p) 증가했습니다.

* ‘직장 내 일가정 양립 문화에 만족한다’ 응답비율:(’17) 여성 23.6%, 남성 21.3%

2023년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여성 51.9%, 남성 43.9%로 ’17년 대비 각 3.5%포인트(p), 4.9%포인트(p) 증가했습니다.

*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가  둘 다 비슷하다’ 응답비율:(’17) 여성 48.4%, 남성 39.0%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은 “여성, 남성의 삶을 세심히 살펴 일생활 균형 등 국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인구와 가구 여성 가구주, 맞벌이, 1인 가구 모두 증가  여성 가구주 가구 비율 2015년 29.4% 2023년  34.7%  맞벌이 가구 비율 2015년 44.2% 2023년  48.2%  1인 가구 비율 2015년 27.2% 2023년 35.5%  노동시장 30대 여성 고용률 큰 폭 증가로 'M커브' 완화  15~64세 고용률 2015년 여성 55.7% 남성 75.9% 2023년 여성 61.4% 남성 76.9%  연령대별 여성 고용률 15~19세 2010년 7.7% 2023년 8.6% 20~24세 2010년 48.8% 2023년 50.5% 25~29세 2010년 66.1% 2023년 74.3% 30~34세 2010년 53.0% 2023년 71.3% 35~39세 2010년 54.4% 2023년 64.7%  40~44세 2010년 64.1% 2023년 64.7% 45~49세 2010년 64.2% 2023년 67.4% 50~54세 2010년 60.1% 2023년 69.0% 55~59세 2010년 52.4% 2023년 66.6% 60~64세 2010년 40.4% 2023년 54.1%  65세 이상 2010년 21.4% 2023년 29.7%
일생활균형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중 남성 비율이 '15년 대비 5배 증가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구성비 2015년 여성 94.4% 남성 5.6% 2023년 여성 72.0% 남성 28.0%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수급자 구성비 2015년 여성 91.8% 남성 8.2% 2023년 여성 89.6% 남성 10.4%  유연근무 활용률 2015년 여성 4.6% 남성 4.7% 2023년 여성 13.9% 남성 17.1%  사회안전망 남녀 모두 고용보험 및 건강보험 가입률 상승  국민연금 수급자 구성비 2010년 여성 40.0% 남성 60.0% 2023년 여성 46.1% 남성 53.9%  고용보험 가입률 2010년 여성 53.5% 남성 70.9% 2023년 여성 73.1% 남성 80.3%  건강보험 직장가입률 2010년 여성 57.0% 남성 74.6% 2023년 여성 74.0% 남성 83.0%
의사결정 4급 이상 국가 공무원 등 여성 관리자 비율 '19년부터 지속 증가  4급 이상 국가 공무원 여성 비율 4급 이상 2015년 12.1% 2017년 14.8% 2019년 18.0% 2021년 21.5% 2022년 23.2% 2023년 25.1%  고위공무원 2015년 4.8% 2017년 6.5% 2019년 7.9% 2021년 10.0% 2022년 11.2% 2023년 11.7%  공공 및 민간 기업의 여성 관리자 비율 2015년 19.4% 2017년 20.4% 2019년 19.8% 2021년 21.3% 2022년 21.8% 2023년 22.1%  여성폭력 디지털 성범죄 중 '통신매체이용음란' 발생건수 '21년 대비 2배 증가  카메라 등 이용 촬영·반포 등 2021년 5,541건 2022년 5,876건  통신매체이용음란 2021년 5,067건 2022년 10,563건  허위영상물편집·반포 등 2021년 259건 2022년 170건  촬영물 등 이용협박, 강요 등 2021년 546건 2022년 821건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소지·제작·배포 등 2021년 1,628건 2022년 1,598건
건강 첫째 자녀 출산 연령 32.8세로 '10년 대비 2.7세 증가  산모 평균 출산 연령  2010년 31.3세 / 2015년 32.2세 / 2020년 33.1세 / 2021년 33.4세 / 2022년 33.5세  출산 순위별 산모 평균 출산 연령 첫째 자녀  2010년 30.1세 / 2015년 31.2세 / 2020년 32.3세 / 2021년 32.6세 / 2022년 32.8세 둘째 자녀  2010년 32.0세 / 2015년 33.0세 / 2020년 33.9세 / 2021년 34.1세 / 2022년 34.2세 셋째 자녀 이상  2010년 34.3세 / 2015년 34.7세 / 2020년 35.4세 / 2021년 35.5세 / 2022년 35.6세  사회인식 일·가정 양립문화 만족도, 40대 이하에서는 여성이, 50대 이상에서는 남성이 더 높아  직장 내 일가정 양립 문화 만족도(2023년) 전체 여성 35.1% 남성 34.9% 29세 이하 여성 37.1% 남성 36.0% 30~39세 여성 38.4% 남성 35.8% 40~49세 여성 36.5% 남성 34.6% 50~59세 여성 33.2% 남성 35.6% 60세 이상 여성 28.8% 남성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