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제1회 강남세움복지관 플로어 컬링대회 ‘컬링픽’ 규칙 알아보기!
예선: 11월 9일(목), 본선: 11월 10일(금)
1.플로어 컬링이란? 빙상이 아닌 실내공간에서 바닥의 타겟에 스톤을 밀어넣는 뉴스포츠입니다.
-스톤: 플로어 컬링의 스톤은 Rock이라고도 불리며 대체로 고무로 된 재질의 바닥에 롤로가 붙어 있는 형태이다.
-타겟: 플로어 컬링의 표적지는 ‘하우스’라고도 하며, 중앙의 하얀 부분을 버튼이라고 한다.
-푸셔스틱: 무릎을 굽히기 힘든 선수들이 스톤을 밀 수 있도록 하는 용구이다.
-투구선: 스톤을 던질 때 투구선을 넘지 않도록 한다.
-호그라인: 투구선에서 약 5m 떨어져있으며, 호그라인을 넘지 못한 스톤은 경기장에서 제거된다. (다시 투구 불가)
-앤드라인: 타겟 끝 1m 거리에 위치했으며, 앤드라인을 넘은 스톤은 제거된다.
2.플로어 컬링 규칙
1) 플로어 컬링 경기는 4:4로 진행되며, 한 사람당 1개의 스톤을 투구한다.
2) 타겟 중앙과 투구선까지의 거리는 7m 거리이다.
3) 첫 번째 엔드는 한궁으로 이긴팀이 후공을 한다. 두 번째 엔드에서는 이전 게임에서 진 팀이 후공을 하게 된다.
4) 스톤은 상대방(팀)과 한 개씩 번갈아 투구하며, 모두 투구하면 한 게임(엔드)이 끝난다.
5) 한 엔드가 끝나면 상대팀에 비해 하우스 중앙(버튼)에 더 가까운 스톤이 있는 팀이 점수를 얻게 되며, 상대팀의 점수는 0점이 된다.
3.기타 규칙
1) 엔드별 최종점수의 합으로 승패를 결정하며, 동점일 경우 1인드 추가 실시하여 최종 승리팀 결정
2) 정해진 순서(각 팀에서 결정)에 따라 투구하며, 1엔드 종료 후 요청시 2엔드 투구 순서 변경 가능(단, 1회만 가능)
3) 투구가 완료된 스톤은 엔드가 끝날 때까지 제거하지 않고 제 자리 유지(단, 호그라인을 넘지 못하거나 엔드라인을 넘어선 스톤은 진행요원이 제거함)
4. 투구방법
1) 기본 투구: 한 무릎 투구, 양 무릎 투구
2) 의자(휠체어)와 푸셔 사용 가능, 앉아서 투구(양반다리) 허용
3) 투구선을 넘거나 닿은 상황에서 투구할 경우 파울로 간주하고 다시 투구하도록 함. (단, 3회 이상 파울 시 해당 스톤 실격)
4) 비장애인 선수의 경우 주 사용 반대 손으로 투구(예: 오른손잡이-왼손투구)
5. 점수 계산 규칙
- 한 엔드가 끝난 후, 버튼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스톤의 소유팀이 해당 엔드의 승자가 된다.
1) 상대팀보다 하우스 중신에 가깝게 던진 스톤 수만큼 점수 획득
2) 엔드별 승리팀은 최대 4점까지 가능하고, 패배팀은 언제나 0점 처리
3) 양팀 모두 하우스에 넣지 못한 경우에는 0대0
* 스톤의 위치가 판정하기 애매할 경우, 측정 장비(줄자 등)를 이용해 심판이 결정